저번에 앨빈 토플러의 제 3물결을 읽고 있다는 학생이었습니다.. 읽다보니 대충은 알 것 같은데 확실히 확인을 해보려고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..
Voting provided a mass ritual of reassurance, conveying to the people the idea that choices were being made systematically, with machine-like regularity, and hence, by implication, rationally.
선생님께서 강의에서 영어는 긴 것을 앞으로 내보내기 싫어한다고 하셨던 기억이 있는데요.ㅎ
여기서 the idea that~~이 타동사 convey의 목적어인데 너무 길어서 뒤로 보낸 것 맞나요?
ㅎㅎ; 맞는 거는 같은데 ㅎ 책에서 이런 문장을 처음 보니까 의심이 가서 질문을 올려봅니다.ㅎㅎ
선생님 무료강의 다 들었어요^^ ㅎ 예전에 어렴풋이 알았던 개념들이 그래도 조금씩 확실하게 잡히는 것 같아요 ㅎㅎ
감사합니다~^^ .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더 들으려구해요 ㅎ; 더 확실히 하기 위해서 ㅎㅎ
언능 본 강의도 다 떼야지~!ㅎㅎ 영차영차 ㅎ
관우샘도 화이팅이에요^^
영어는 긴게 앞에 오는 걸 싫어하고, 뭔가가 중복되는 것도 싫어합니다.
그래서 가주어 가목적어 같은 형태와 도치구문이 발달했고, 대명사나 대동사, 그리고 생략구문등이 많이 사용되는 것이죠.
위에 적어주신 내용이 옳습니다. 일단 긴 건 뒤로 보내버리는 거죠. 이건 제 무료강의 29강에 나온 형용사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.
아마 무료 강의를 완강하셨다니 아실 겁니다. ^^
목적어가 필요한 5형식의 경우에도 이런 식의 도치가 가능한데요. 일반적인 5형식은 S + Vt + O + O.C 형태 아닙니까?
그런데 이때 O 인 명사부분이 너무 긴 겁니다. 그리고 O.C 는 달랑 단어 하나구요. 그럼 어떻게 할까요?
가장 흔한 방법이 잘 아시는 것처럼 가목적어 it 을 써서 진짜 목적어 부분을 목적 보어 뒤로 보내버리는 거죠. 이렇게 말입니다.
I found to meet her at once impossible. (정상 어순)
S Vt O O.C
I found it impossible to meet her at once. (가목적어 it 진목적어 to V 형태)
S Vt 가O O.C 진O
그런데 이렇게 가목적어 it 으로 받을 수 있는 건, 진목적어가 to 부정사나 that 절 등의 형태로 올 경우죠.
만일 그냥 명사가 너무 긴 형태로 목적어자리에 온다면, 이때는 가목적어 it 을 쓸 수 없답니다. 그럼 어떻게 할까요?
뭘 어떻게 합니까? 그냥 그 긴 목적어 명사를 목적보어 뒤로 보내버리면 그만이랍니다. ^^ 이렇게 말이죠.
His study made the survival of all humankind on this earth possible. (정상 어순)
S Vt O O.C
His study made possible the survival of all humankind on this earth. (도치 형태)
S Vt O.C O
그만큼 영어는 간결한 것이 앞에 오는 것을 좋아한다는 걸 알아두시면 앞으로도 영어공부에 큰 도움이 되리라 짐작합니다. ^^
from ... RainSky
[ 인강의 새로운 패러다임 - 레인잉글리쉬.COM ]
http://RainEnglish.Com